재테크
ETF란
keesan
2010. 1. 16. 18:02
ETF, 자유롭게 사고팔고 수수료는 부담없고 안정성은 뛰어나고 | ||||||||||||||||||
ETF 투자 핵심은 `NAV(주당 순자산 가치)` | ||||||||||||||||||
◆ 직접투자와 간접투자의 장점 결합 상품 = ETF는 한마디로 `주식시장에 상장된 인덱스 펀드`라고 정의할 수 있다. 인덱스펀드는 특정 주가지수를 그대로 따라가면서 동일한 수준의 수익률을 얻는 간접 상품이다. 단 한주를 사더라도 해당 지수에 속한 종목군 전체에 골고루 투자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. 이러한 간접투자 성격을 지닌 펀드가 개별 종목처럼 증시에 상장돼 실시간으로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는 상품이 ETF다. 펀드 운용 및 관리 대가인 보수율도 낮다. 일반 주식형 펀드의 보수는 보통 투자금의 2.5% 전후, 인덱스 펀드는 1.5% 안팎이다. 반면 ETF는 0.23~0.5% 전후다. 투명성도 ETF의 장점이다. ETF에 포함된 개별 종목 리스트는 투자자에게 공시하도록 돼 있다. 삼성투신운용의 KODEX ETF는 kodex.com에서,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ETF는 etf.miraeasset.com에서 그 속을 들여다 볼 수 있다. ETF는 간접투자시대의 최고 히트작으로 불린다. 1993년 미국 S&P500 지수를 추정하는 상품이 처음 선보인 후 ETF운용자금은 지난해 말 1조320억달러까지 증가했다. 국내 ETF 자산 규모도 첫선을 보였던 2002년 3907억원에서 2009년에는 3조7890억원으로 9.7배 성장했다. 종목 수도 4개에서 50개로 늘었다. ◆ 입맛에 맞는 ETF 상품 고르기
| ||||||||||||||||||
= ETF도 점차 진화하고 있다. 증시 대표지수를 쫓던 `기본형`을 넘어서 최근에는 섹터별, 테마별, 변종형 ETF가 속속 등장해 투자자들도 `골라먹는 재미`가 생겼다.
중국, 브릭스, 일본 등 해외 주식지수와 반도체, 자동차, 조선, 은행, 건설 등 업종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물론 채권지수를 추구하거나 주식지수와 역행해 주가가 빠지면 이익을 보는 리버스 ETF도 출시됐다. 국내 증시에 상장된 51개 ETF 중 국내 주식 추종 상품이 39개로 가장 많다. 해외 주식과 국내 채권 추종 ETF가 각각 6개와 5개, 금 투자 상품이 1개 있다. 그렇다면 올해는 어떤 ETF에 투자하는 게 좋을까. 이 질문에 대해 ETF 전문가들은 "그건 각 분야 애널리스트에게 물어보세요"라며 공을 넘긴다. ETF는 해당 시장지수나 업종지수를 그대로 따르기 때문이다. 하지만 ETF를 고를 때 그 안에 어떤 종목들이 어떤 비중으로 편입돼 있는지 꼭 살펴봐야 한다. 섹터 ETF는 더욱 그렇다. 더러 해당 업종 간판 종목이 아닌 다른 종목 편입 비중이 가장 높을 때도 있다. KODEX자동차에는 총 19개 종목이 포함되어 있는데, 이 중 편입 비율이 가장 높은 종목은 현대모비스(25.4%)다. 현대차와 기아차는 각각 25.3%와 22.0%로 그 다음 순이다. 추종하는 지수와 ETF 간 수익률 격차인 추적오차(Tracking Error)가 때로 발생한다. 펀드가 대상지수를 구성하는 모든 종목을 편입할 수 없는 현실적 한계나 매매비용, 운용보수, 현금배당 등으로 인한 결과다. ◆ `NAV`를 꼭 보고 투자하라 = 고수들이 말하는 ETF 투자 철칙은 `주당 순자산가치(NAV)를 확인하고 투자하라`다. NAV는 쉽게 말하면 해당 ETF의 현재 가치다. ETF의 NAV는 거래소에서 10초 단위로 업데이트된다. 사실상 실시간으로 가치 정보를 볼 수 있는 셈이다. 이는 상품 매입 뒤 하루 후에야 가치를 알아볼 수 있는 일반 펀드와 크게 차별되는 점이다. 투자 포인트는 이 지점이다. ETF의 원활한 거래를 돕는 유동성 공급자인 LP(Liquodity Provider)는 NAV를 중심으로 KODEX200은 ±5원, 섹터 ETF는 ±20원으로 매수ㆍ매도호가를 책정한다. 예를 들어 KODEX 200의 NAV가 1000원이면 거래가격은 995원에 `사자`, 1005원에 `팔자`가 나오는 식이다. 보편적으로 거래가격은 결국 NAV로 수렴한다. 거래가격이 NAV보다 과도하게 할인된 가격일 때 먼저 사고 그 반대면 팔 때 차익을 거둘 수 있다. 사봉하 삼성투신운용 ETF팀장은 "순자산가치는 지수수익률을 거의 100% 추종하지만 거래가격은 연간 1% 내외로 괴리율을 나타내기 때문에 무턱대고 투자하기보다는 NAV를 항상 함께 살피면서 투자하는 게 유리하다"고 조언했다. 대체적으로 NAV는 홈트레이딩시스템(HTS)에서 보면 거래가격 옆에 표시된다. - 매일경제에서 |